-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에 우리 학교 4개 연구팀이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2027년 4월까지 총 13억7500만원이 각 연구팀에 지원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4일 ‘2024년도 글로벌 기초연구실 신규과제’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자연과학(수학,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기초생명, 분자생명, 기반생명) ▲의약학(기초의학, 응용의학, 치의학, 한의학, 약학) ▲공학(기계, 건설/교통, 소재, 화공) ▲ICT·융합연구(전기/전자, 통신, 컴퓨터·소프트웨어, 바이오·의료융합, 에너지·환경융합·복합, 다학제 융합·복합 분야에서 총 145개 과제가 선정됐다. 아주대에서는 생명과학(기초생명) 분야에서 선정된 ‘다중 면역세포네트워크 통합 제어 연구실(연구 책임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김욱 교수)’을 비롯해 4개팀이 이름을 올렸다. ▲공학(기계) - 초소형 하이퍼 임펄스 액츄에이팅 연구실(연구 책임 : 기계공학과 고제성 교수) ▲의약학(응용의학) - 미토콘드리아 표적 심장박동 제어연구실(연구 책임 : 의학과 이광 교수) ▲의약학(응용의학) - 종양미세환경에서 고내피세정맥의 기능 및 분자 조절기전 규명을 통한 항암치료타겟 발굴(연구 책임 : 의학과 노진 교수) 팀이 선정됐다.각 사업단은 오는 8월부터 2027년 4월 말까지 총 13억7500만원씩을 지원받는다. 의과대학 노진 교수팀은 개척형에, 다른 3팀은 심화형에 지원해 최종 선정됐다. 과기정통부는 ▲심화형 ▲융합형 ▲개척형 3부문으로 나누어 지원을 받았다. 심화형은 기존 연구를 심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를 지원, 소규모 연구집단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며 융합형은 융합연구가 필요한 연구 주제에 대해 지원한다. 개척형은 국내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지원,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분야다. 이번에 선정된 첨단바이오융합대학 연구팀은 김욱 교수를 책임자로 하여, 김은하·박현지 교수가 참여한다. 미국 하버드대학 의과대학과 일리노이대학, 조지아공과대학 교수진이 국제 협력 연구진으로 함께 한다. 연구팀은 Th17 세포 매개 자가면역 질환의 근본적 치료를 위해 면역시스템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가면역 질환 치료법의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Th17 세포 매개 자가면역 질환 중 건선에 집중할 계획이다. 건선은 다양한 면역세포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현재의 치료 접근법은 단일 염증성 사이토카인 제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단기적 증상 완화와 높은 재발률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김욱 교수는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 염증질환 치료를 위한 메커니즘 규명과 치료제 개발 전략의 신규 패러다임 제시 뿐만 아니라, 우리 대학의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기계공학과 연구팀은 고제성 교수를 책임자로, 강대식·한승용·이현범 교수가 함께 참여한다. ‘초소형 하이퍼 임펄스 액츄에이팅 연구’를 진행하며, 미국 조지아공과대학, 켈리포니아대학 등의 연구진과 협업해 나갈 계획이다. 고제성 교수는 “자연계에 존재하며 생존을 위해 특출한 운동 능력을 가지는 ‘하이퍼 임펄스 시스템’을 분석해 초소형 고출력 구동기를 개발할 것”이라며 “이를 민감도와 내구성이 높은 촉각센서나 고유연 전극 및 고인성 복합체 구조와 결합해, 최종적으로 초소형 하이퍼 임펄스 액츄에이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공학 기술로는 구현이 어려운 소형 웨어러블 공학 장치의 한계를 뛰어 넘겠다는 포부다.이번 과기정통부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기계공학과 연구팀 - 고제성 교수, 강대식 교수, 한승용 교수, 이현범 교수* 위 사진 - 과기정통부 지원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교수진. 왼쪽부터 김욱 교수, 김은하 교수, 박현지 교수
-
3433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7-29
- 1589
- 동영상동영상
-
-
3431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29
- 1020
- 동영상동영상
-
-
3429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26
- 1107
- 동영상동영상
-
-
3427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7-26
- 1120
- 동영상동영상
-
'2024 아주국제여름학교'가 10개국 5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마무리됐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 소속 학생들도 함께 참여했다. 국제여름학교 수료식은 지난 24일 율곡관 혁신라운지에서 개최됐다. '아주국제여름학교'는 여름방학을 맞이해 우리 학교를 찾은 단기 교환학생들이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체험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지난 7월2일부터 7월24일까지 약 4주 동안 진행된 이번 국제여름학교에는 미국, 독일, 폴란드, 오스트리아, 체코, 우즈베키스탄, 프랑스, 인도네시아, 일본, 태국 10개국에서 온 52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참여했다. 이 중 30명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 소속 학생들이다.수료식에는 52명의 수료생들과 김경래 교무부총장, 이석원 국제협력처장, AISS 버디 등 75여명이 함께 자리했다. AISS 버디는 아주대 학생들로 구성된 지원 그룹으로, 13명의 학부생이 단기 글로벌 교환학생들의 한국 생활을 지원했다.'아주국제여름학교(AISS, Ajou International Summer School)'는 지난 2000년 단기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2016년까지 총 17회 운영됐고, 그동안 총 1000여명의 외국인 학생들이 참여했다. 이후 3년 동안 운영이 중단되었다가, 20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으로 국제겨울학교를 시행하면서 재개됐다.이번 썸머스쿨에 참여한 학생들은 아주대에 머물면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데이터 분석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Data Analysis and Business Decision-Making) ▲거시경제 발전(Macroeconomics Development) ▲한국어(Korean Language) 과목을 수강했다. 이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6학점을 받는다.이외에도 전통 음식 만들기, 왕실다과체험, K-POP 댄스 수업, 캘리그라피 수업 등 다양한 활동을 체험했다.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 수원 화성행궁, 수원월드컵경기장, 태안 만리포해수욕장 등 국내 기업과 여러 관광지를 방문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 넓혔다. 김경래 부총장은 축사를 통해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학생들이 모여 생소한 환경에서 함께 잘 지내주어서 감사하다”며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많이 성장했을 것으로 믿고, 아주에서 만든 기억과 추억이 평생 가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해 여름에 이어 올해에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 재학생 30명이 아주국제여름학교에 참여했다.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는 지난 2021년 2월 개교했다. AUT는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제공한 부지와 건물 등 하드웨어에 아주대의 교육 시스템과 노하우를 결합한 형태다. 현재 ▲건설시스템공학과(Civil Systems Engineering) ▲건축학과(Architecture) ▲전자공학과(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의 아주대 학사학위과정과 ▲IT-비즈니스학과(IT-Business Department) ▲한국어학과(Korean Language & Philology Department) ▲영어 및 경영학과(English Philology & Management Department) AUT 학사학위과정이 함께 운영되고 있다.수원 화성행궁 방문삼성 이노베이션 뮤지엄 방문수업 듣는 학생들
-
3425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25
- 1162
- 동영상동영상
-
아주대-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췌장암 연구에 활용되는 모델 시스템에서 환자 조직과 모델 조직의 불일치 현상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난치암인 췌장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맞춤형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박대찬 아주대 교수(첨단바이오융합대학·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와 장진영 서울대 교수(의과대학 외과학교실)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환자로부터 구축한 PDX 모델을 이용해 췌장암 실제 환자 조직과 모델 조직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했다고 밝혔다.해당 연구 내용은 ‘췌관선암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의 하위 유형 정의 및 추적(Defining and tracing subtypes of patient-derived xenograft models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이라는 논문으로 암 연구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캔서 커뮤니케이션즈(Cancer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아주대 박대찬 교수와 서울대 장진영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고, 아주대 현상엽 석사 졸업생(현 JW C&C신약연구소), 아주대 분자과학기술연구센터의 문재윤 박사, 서울대 한영민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전체 췌장암의 90%를 차지하는 췌관선암(PDAC,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법이 부족해 생존율이 매우 낮은 난치암이다. 췌관선암의 5년 생존율은 10% 미만으로, 전이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암종이기도 하다.췌관선암을 비롯한 여러 암 연구에서 실제 환자의 조직을 활용하기는 어려운데, 그 양이 한정적이고 직접적인 항암제 테스트가 힘들기 때문이다. 이에 환자의 조직을 사람이 아닌 다른 종의 동물에 이식, 구축한 ‘동물모델’을 기반으로 한 모델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모델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평가와 실험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새로운 치료법과 신약 개발에 기반이 되고 있는 것. 하지만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암세포의 성질이 변하고, 종양미세환경이 재구성됨에 따라 환자의 암 조직과 모델 시스템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실제로 모델의 신뢰성에 대해 세계적 연구기관들에서도 논쟁을 벌여왔다. 아주대·서울대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의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자 조직과모델 시스템의 불일치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36명의 췌장암 환자로부터 혈액 및 암 조직을 확보했다. 이어 환자의 암 조직을 이식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모델(PDX 모델, patient-derived xenograft)을 구축했다. 연구팀은 확보한 환자 샘플 및 PDX 조직 샘플을 대상으로 WES (Whole exome sequencing) 및 RNA-seq(RNA sequencing)을 수행해 모델 구축 과정에서의 유전체 및 전사체 변화를 추적했다.분석 결과 연구팀은 환자의 암 조직과 해당 환자의 PDX 모델 암 조직 사이에 체세포 변이 및 유전자 복제 수 변이 등 유전체 변이가 일치하지 않고, PDX 모델에서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동일한 환자의 암 조직에서 PDX 모델이 구축될 때 암세포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모델 시스템에서의 췌장암 진화 현상을 검증했다.공동 연구팀은 PDX 모델이 유전체의 불일치뿐 아니라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도 환자의 암 조직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췌장암 하위 유형은 PDX 모델을 분류하는 데 적합하지 않음을 입증했고, PDX 모델의 새로운 특이적 하위 유형을 정의했다. 또한, 모델 구축 과정에서 하위 유형의 변화가 종양미세환경에서 주변 기질 세포들과의 상호작용 차이로부터 기인한 것임을 규명해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PDX 모델 구축 과정에서 암세포의 환경 적응 및 특성 변화가 일어나므로, PDX 모델을 사용한 임상시험 과정에서 실제 췌장암 환자 조직과의 불일치 현상을 신중히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박대찬 아주대 교수는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해 실제 췌장암 환자의 조직과 PDX 모델을 대비해, 축적되는 다양한 유전체 변이와 모델 특이적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변화를 추적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환자와 모델 간 차이와 암세포 특성 변화 현상을 규명해낼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박 교수는 이어 “환자의 항암제 반응 정도를 모델 동물로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 새로운 환자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 공동 연구에서 아주대학교 박대찬 교수 연구팀은 생명정보학 접근법을 이용하여 차세대염기서열(NGS, next-generation sequencing) 데이터를 분석했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장진영 교수 연구팀은 췌장암 환자의 수술을 통해 조직 샘플링, 임상 데이터 분석, PDX 구축 및 실험을 담당했다. 췌장암에 대한 공동 연구를 이어온 아주대-서울대 팀은 지난해 처음으로 관련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이번 논문에 이어 앞으로도 후속 연구 성과를 연이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교육부의 G-LAMP(Global-Learning &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 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왼쪽부터 아주대 박대찬 교수(공동 교신저자), 서울대 장진영 교수(공동 교신저자), 현상엽 석사 졸업생(공동 1저자), 문재윤 박사(공동 1저자), 한영민 박사(공동 1저자)* 위 사진 : 연구팀의 이번 연구에 대한 이미지. 항암제 개발 초기에 동물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물 모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환자 암 조직의 항암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3423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7-25
- 1295
- 동영상동영상
-
-
3421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23
- 1456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기술사업화센터가 19일 율곡관에서 특허법인 태백 등 15개 특허사무소와 ‘2024년 전담특허사무소 업무 협약식’을 가지고 우수 특허 창출과 기술사업화 실적을 향상시키는데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아주대 김상인 산학협력단장과 각 전담특허사무소 대표 변리사들이 참석했다.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우리 학교는 기술분야별로 전담 특허사무소들을 지정했으며 특허사무소들은 ▲선행기술조사 ▲국내외 특허 창출 ▲지식재산권 컨설팅 ▲기술사업화 협력 등의 업무를 향후 2년간 수행하게 된다. 분야별로는 ▲IT 분야 5개(특허법인 로얄, 특허법인 두호, 특허법인 이룸리온, 모티버스 특허법률사무소, 마루 특허법률사무소) ▲NT 분야 1개(엔씨 특허법률사무소) ▲CT 분야 3개(특허법인 태백, 디앤 특허법률사무소, 시공 특허법률사무소) ▲BT 분야 6개(특허법인 PCR, 특허법인 아이시스, 5T 특허법률사무소, 온유 특허법률사무소, 특허법인(유) 화우, 정진 국제특허법률사무소)이다.기술사업화센터는 변리사, 기술거래사, 기업기술가치평가사, 산학협력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대학 연구진의 연구성과가 특허창출과 기술이전, 사업화까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번 전담 특허사무소들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 학교 지식재산권의 가치와 관리가 질적으로 크게 약진하고, 기술사업회도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아주대 김상인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협약식이 아주대학교의 우수기술을 발굴하고, 기술사업화 성과를 더욱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기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3419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22
- 1158
- 동영상동영상
-
-
3417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19
- 1339
- 동영상동영상
-
-
3415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19
- 1069
- 동영상동영상
-
-
3413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7-18
- 1400
- 동영상동영상
-
-
3411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7-18
- 1129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