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84건
,
204
/
397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969
[칼럼] 시민이 만드는 도시, 포용도시가 다가온다
위치 확인
[이재준 교수, 공공정책대학원]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벌써 내년 봄이 설레어지는 토론회에 참여했다. 그 토론회에서 내년 봄에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참여와 열정을 보았기 때문이다. 가슴을 들뜨게 만든 더 큰 이유는 시민의 손으로 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기 때문이다. “시민의 손으로 도시를 만들자”라는 필자가 학자와 행정가를 거쳐 정치인으로 성장하면서 지금까지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는 철학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네의 문제를 직접 참여해서 발굴하고 다양한 협의와 합의를 거쳐 주민들이 직접 해결하자는 것이 “시민의 손으로 도시를 만들자”라는 철학이다. 지금 많은 지자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와 도시재생 정책이 작은 사례이다. 지금은 바야흐로 포용국가 혹은 포용도시 시대이다. 우리나라가 압축성장과정에서 양적 성장은 어느 정도 이루었지만 많은 문제도 노출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양극화와 사회적 약자인 소외계층의 배제였다. 지금 정부도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포용국가를 선언하고 모든 정책 방향을 포용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같은 포용의 시대를 맞이하여 경기연구원과 경기도의회가 주최한 “포용도시기반 국가공유지 활용방안 정책토론회”가 수원시 북수원도서관에서 열렸다. 다행히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 관심과 열정을 보여주셨다. 참여한 시민대표 토론자들은 그동안의 욕구와 경험, 그리고 해결방안까지도 제시해 주었다. 토론회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주민들의 열의와 참여를 통해 이제 “시민이 만드는 도시”라는 희망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략) 2018년 12월3일 수원화성신문 기사 원문보기
968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2-04
7991
동영상
동영상
ljj.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67
[칼럼] 새로운 국제질서 태동과 우리의 대응
위치 확인
[김흥규 교수, 정치외교학과] 파국이냐, 휴전이냐, 종전이냐. 전 세계의 눈이 아르헨티나에서 주요20개국(G20) 기간에 개최되는 미중 정상회의에 쏠렸다. 2018년에 미중은 브레이크 없는 가속 페달을 밟는 듯 무역분쟁을 확대해왔다. 세계 제2의 냉전이 시작됐다는 분석마저 나오고 있다. 현 미중 무역분쟁이 확대되고 있는 이면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모두 국내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만 무역분쟁이 더 확대된다면 어느 누구도 그 승패를 확신할 수 없다. 세계 경제가 하강하는 국면에서 중국이 지닌 경제·사회적 불안정성은 더욱 증폭돼 정치적 안정성마저 위협할 수 있다. 미국 유권자들의 경제적 부담도 크게 가중돼 친트럼프 유권자들이 지지를 철회할 개연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뉴욕타임스(NYT)나 월스트리트저널(WSJ)과 같은 미국 언론들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미중 간의 타협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왔다. 국제정치의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중은 90일간의 추가협상이라는 일시적인 타협은 이뤘으나 종전은 어려워 보인다. 상호 신뢰의 부재와 세력전이 현상에 따른 갈등 때문이다. 미중 무역분쟁은 향후 경제 전반, 전략적인 차원, 군사적인 차원은 물론이고 이념적인 차원에까지 경쟁과 충돌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하략) 2018년 12월2일 서울경제 기사 원문보기
966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2-03
8028
동영상
동영상
khk3.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65
[칼럼] 공격적 말투 없애니 기업 경쟁력 높아져
위치 확인
[김경일 교수, 심리학과] 경쟁력을 높이면서 건전한 조직문화가 정착되고 심지어 노사 관계도 눈에 띄게 좋아지는 방법. 누구라도 눈을 번쩍 뜨며 그런 방법이 있다면 당장 알려 달라고 조를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그중 우리가 지금까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 왔던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좋은 말 쓰기다. 좋은 말 선한 용어를 쓰면 위의 결과를 얻기가 훨씬 더 용이해진다. 믿기 어렵겠지만 사실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에는 아직도 공격적인 표현이 엄청나게 많다. 굳이 그런 말을 쓸 필요가 없는데도 말이다. 몇 가지만 예를 들어보자. `정곡을 찌르다`와 `문제를 제거하다` 혹은 `경쟁사를 무찌르다`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찌르고, 제압하고, 무찌르는 것은 전투나 싸움에 쓰면 딱 맞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렇게 폭력적인 말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그것도 좋은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부지불식간에 사용하는 경우가 무수히 많다. 이는 매우 중요한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언어를 좋은 말과 선한 용어로 바꿔 나가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략) 2018년 11월29일 매일경제 기사 원문보기
964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1-30
7891
동영상
동영상
KKI.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63
[칼럼] “불같은 사랑은 잠깐”… 조금씩 익어가는 중년부부를 위한 응원가
위치 확인
[주철환 교수, 문화콘텐츠학과] ■ 노사연 ‘만남’ ‘바램’ ‘사랑’ 어느 선까지 비밀을 공유해야 부부일까. “다들 핸드폰 올려봐.” 영화 ‘완벽한 타인’에선 신호가 울릴 때마다 관객도 배우만큼 긴장한다. 특히 ‘아이 윌 서바이브’(I will survive, 진주 ‘난 괜찮아’의 원곡)가 나올 때 몰입도가 높다. ‘네 잘못을 헤아리다가(Thinkin’ how you did me wrong)/ 난 강해졌고 사는 법도 배웠지(And I grew strong and I learned how to get along)’. 음악은 부서진 기억을 재건하고 드디어 영화 ‘어둠 속에 벨이 울릴 때’(Play Misty For Me)의 사운드트랙과 접속한다. ‘당신의 얼굴을 처음 본 순간(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 눈에서 태양이 떠오른다고 생각했죠(I thought the sun rose in your eyes)’(로버타 플랙 ‘더 퍼스트 타임 에버 아이 소 유어 페이스-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 중). 맹목의 집착이 영화음악 속에 안개처럼 젖어든다. 사랑은 이따금 실수와 바꿔 끼울 수 있는 단어다. 결혼행진곡에 맞춰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완벽한 타인’들이 부부의 길을 떠난다. 평화롭게 동행하려면 예의와 존중이 필수적이다. “선택은 내가 할 테니 너는 집중만 해라.” 이건 좀 아니다. 극장을 나서려는데 마지막 자막이 관객을 붙잡는다. ‘인간에겐 3개의 나가 있다. 공적인 나, 사적인 나. 그리고 비밀의 나’. 모두 다 보여주는 게 결혼의 정석은 아니다. 누구라도 타인의 마음속까지 들여다볼 권리는 없다. (하략) 2018년 11월29일 문화일보 기사 원문보기
962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1-30
8068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61
[칼럼] '새로운 경기'를 위해 '머슴'을 제자리로
위치 확인
[이용주 교수,교통연구센터] 2018년 6월 13일, '촛불 혁명'의 물결 속에 그 어느 때보다 '새로운 경기'를 바라는 마음이 분출된 날이다. 지방자치 역사상 전례 없이 기초자치단체장이 '여의도 경험' 없이 불과 8년 만의 성장기를 거쳐 도지사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그것도 우리나라 최대 1천300만 인구가 밀집한 경기도지사였으니, 시장에서 도지사로 진급시켜 '이재명' 스스로 자처한 '머슴'의 검증된 능력을 도 전체로 발휘하라는 것이 주권자인 도민의 지시였을 것이다. 그러나 도민의 지시를 이행하고자 했던 '머슴'은 '이재명' 개인사로 치부할 수 있는 이슈가 인격적인 하자로 확대 포장되고, 더 나아가 선거법 저촉에까지 휘말려 도지사의 직을 걱정해야 하는 형편이 되었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이 지사에 대해 홍수 같이 쏟아지는 뉴스와 '팩트'가 아닌 '정황'에 의존한 보도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벌써부터 피로를 느끼고 있으며, 이 지사가 추진하는 정책보다는 개인사나 검경의 수사결과에 더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다. 결국 주권자와 이 지사 모두 도정을 살피지 못하고 공백 상황이 깊어지고 있는 진행형이 되어 가는 것 같은 불안감이 든다. 최근 국가위임사무와 국고보조사업 집행에 대한 잘잘못을 감사하는 국정감사를 비롯하여 도 행정 전체를 살피는 행정사무감사 내용은 온데간데없이 개인 '이재명'에 대한 이슈만 노출되는 것은 1천300만 도민의 시름을 더욱 떨쳐낼 수 없게 하고 있다. (하략) 2018년 11월29일 경인일보 기사 원문보기
960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1-29
7907
동영상
동영상
lyj.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