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84건
,
201
/
397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984
[칼럼] `회사가 곧 자신`이란 직원들…인정받겠단 욕구가 조직 망쳐
위치 확인
[김경일 교수, 심리학과] 가끔 이런 분들을 만난다. `저 친구는 회사가 곧 자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야.` 대부분 회사일을 자기일처럼 생각해 주인의식이 높고 열심히 일하는 직원을 두고 하는 말이다. 칭찬 중에서도 극찬에 가깝다. 하지만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조직은 이런 사람들에 의해 크게 망가진 경우가 많다. 왜 그런지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자. `회사가 곧 나다`라는 말에서 한 단어만 바꿔보자. `자식이 곧 나다`라는 부모가 된다. 최근 인기 높은 드라마 `스카이캐슬`에 많이 나오는 장면이자 대사다. 이 드라마에는 자녀의 성공을 자신의 성공과 동일시해 끊임없이 자식에게 1등을 강요하는 부모들이 등장한다. 이런 모습들을 보면서 시청자들은 한결같이 `얼마나 자아(혹은 자기)가 없으면 자식을 통해서 자신을 완성하려고 하는가`라는 탄식을 내뱉는다. 심리학자 아들러는 어렸을 때 인정받지 못한 아이가 어른이 됐을 때 이런 현상이 자주 목격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버림받지 않으려고 더욱더 필사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갈망하는 왜곡된 모습을 보인다. 그 과정에서 인정받지 못하던 자신보다 더 나아질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하나 선정하고 그것을 통해 인정을 받으려는 경향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략) 2018년 1월25일 매일경제 기사 원문보기
983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9-01-25
6562
동영상
동영상
kki.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82
[칼럼] 월 10조 온라인 시장에 성장 기회 있다
위치 확인
[김성환 교수, 경제학과] 경제학에는 물과 다이아몬드의 가치를 비교하는 ‘다이아몬드의 역설’이라는 것이 있다. 그런데 일반인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다이아몬드의 역설’이 하나 더 있다. 소비자들이 더 싸고 좋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판매자를 찾아다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탐색비용’이라고 하는데, 아주 약간의 탐색비용만 존재하더라도 판매자들은 경쟁을 회피하고 가격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피터 다이아몬드라는 미국 경제학자가 이론 모형을 통해 증명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의 역설이라고 불린다. 다이아몬드의 역설이 복잡한 시장 환경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탐색비용이 가격 인상의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인터넷 상거래가 등장한 이후 많은 경제학자가 그 효과에 대해 큰 관심을 가졌던 부분도 이런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다. 즉, 온라인 거래가 탐색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춤으로써 그동안의 전통적 시장구조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가격인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됐던 것이다. (하략) 2019년 1월23일 한국경제 기사 원문보기
981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9-01-25
6521
동영상
동영상
ks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80
[칼럼] ‘진실은 회색빌딩 사이로 숨었다’ 해도… 편견에 지지 말고 “버티세요”
위치 확인
[주철환 교수, 문화콘텐츠학과] 가장무도회 “폭력으로 편견을 이기는 게 아니다. 품위를 지킴으로써 폭력을 이길 수 있다.” 영화 ‘그린 북’에서 돈 셜리(마허샬라 알리)는 유난히 품위(dignity)를 강조한다. 하지만 그는 폭력 앞에서 무기력하다. 편견을 이긴다는 건 더구나 불가능하다. “나는 평생 그런 취급을 당해왔는데 당신은 하루도 못 참아?” 이기기보다 견디는 게 실용적이라는 걸 그는 안다. 책 표지는 희망적(green)이지만 영화 내용은 차별적이다. “여기는 입장 못합니다. 이 책에 나온 식당에서 식사하신 후에 연주 부탁드려요.” 천재 피아니스트에게 이 무슨 황당한 요구인가. 이유는 단 하나. 그가 흑인이기 때문이다. 그러곤 ‘친절하게’ 설명한다. “저희는 규정을 준수합니다.” 그린 북은 1962년 미국에서 유색인종이 여행 중 머물 수 있는 호텔 내비게이션 책자였다. 영화는 관객에게 묻는다. 2019년 지금 당신 마음속에는 그린 북이 없는가. (하략) 2018년 1월17일 문화일보 기사 원문보기
979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9-01-18
6494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78
[칼럼] ‘먼지가 되어’ 날아갔지만… ‘사랑이라는 이유로’ 보내지 않았다
위치 확인
[주철환 교수, 문화콘텐츠학과] ■ ‘부치지 않은 편지’의 김광석 ‘좋아하는 노래가 흘러나오길 기다리며 라디오에 귀 기울이던 소년이 있었다’.(When I was young I’d listen to the radio waiting for my favorite songs). 카펜터스의 ‘예스터데이 원스 모어(Yesterday once more)’(1973)는 아련한 시절의 소리 나는 풍경화다. 음악방송은 하굣길 어귀의 작은 개울 같았다. 사려 깊은 DJ는 녹음하려는 애청자를 위해 노래 전주와 자신의 음성이 겹치지 않도록 안전거리를 확보했다. 야간통행은 금지됐지만 별은 하늘에서 자유로웠고, 밤을 잊은 젊은이들은 꿈과 음악 사이에서 수줍게 소통했다. ‘밤새 하늘에선 별들이 잔치 벌였나/어느 초라한 길목엔 버려진 달빛 고였나’(김민기 ‘새벽길’ 중). 노래를 채집하는 젊은이의 가방과 가슴 속은 사랑을 그린 악보로 그득했다. 노래로 마음을 접속하던 시절이었다. 소년도 ‘별밤’에 엽서를 보냈다. 어마어마한 경쟁률 속에 사연이 채택됐고, 전화 목소리가 전파를 탔다. 신청곡은 에벌리 브라더스의 ‘내가 할 수 있는 건 꿈일 뿐(All I have to do is dream)’ ‘그대는 내 사람/입술은 달콤하지만/밤이나 낮이나/문제는 제기랄/꿈 깨면 사라진다는 것(I can make you mine/taste your lips of wine/anytime night or day/only trouble is, gee whiz/I’m dreamin’ my life away)’. (하략) 2018년 1월10일 문화일보 기사 원문보기
977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9-01-14
6397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76
[칼럼] 항공산업 발전 이끄는 두 번째 국산 헬기 LAH
위치 확인
[권용진 교수, 산업공학과] 지난해 말 항공도시 경남 사천에서 소형무장헬기(LAH)가 처음으로 세상 밖에 나왔다. LAH는 아파치 가디언 공격헬기와 함께 대한민국 영공 수호를 담당할 미래 육군 항공 전력이며, 한국형 기동 헬기 수리온에 이은 두 번째 국산 헬기이다. 대한민국은 육해공군 총 690여대의 헬기를 운용하고 있는 세계 6대 헬기 보유국이지만 설계 및 개발 기술이 없었다. 수리온이 개발되기 전까지 모든 헬기는 해외에서 전량 수입해서 썼다. 그런데 국산 헬기를 운용하면서부터는 오랜 기간 동안 해외에 의존하던 후속군수지원과 정비교육 훈련도 국내에서 맡게 됐다. (하략) 2019년 1월7일 서울신문 기사 원문보기
975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19-01-09
6606
동영상
동영상
k.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